레볼루션 카지노

[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378〉혁신을 안무하다

온 유어 토스(On Your Toes). 흔히 '단단히 준비해'나 '긴장해야 해' 같은 의미의 단어 묶음으로 쓰인다. 하지만 문자 그대로라면 '까치발'도 됨직 싶은 이것은 브로드웨이 역사상 가장 중요한 뮤지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뮤지컬은 여럿 브로드웨이 전설을 낳았다. 그중 안무를 맡은 조지 발란신(George Balanchine)이 있다. 안무(按舞)를 뜻하는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가 춤을 의미하는 코레이라(khoreia)와 글쓰기를 의미하는 그라피아(graphia)에서 유래했다면 발란신은 이 '댄스 라이팅'이란 묘사가 가장 어울리는 안무가였을 지도 모른다.

혁신을 미학과 비교할 것은 아니다. 각자 나름의 영역이 있고 다른 지향이 있겠다. 하지만 누군가는 혁신을 안무에 비유되기도 한다. 일견 무관한 이 둘을 잇는 연결고리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제법 시간이 흐른 질레트 얘기다. 이즈음 질레트는 매년 20개 정도 신제품을 시장에 내놓고 있었다. 이건 어떤 의미에선 신제품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출시하고 판매하는 과정이 언제나 진행 중이어야 한다는 걸 말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니 진즉 대성공이 예상됐던 센서(Sensor) 면도기가 출시될 즈음에 후속 제품인 엑셀(Excel)은 개발 윤곽이 잡혀 있을 무렵이었다. 물론 엑셀(Excel)이 출시된 것은 자기 자신의 후속 제품과 그 이후의 후보 제품이 개발 중이라는 의미기도 했다.

프로토타입으로 있던 어떤 제품이 생산된다는 건 그 후속 제품의 모형이 개발팀 금고에 들어가 있는 셈이었다. 이건 질레트의 전환 관리 방식의 대명사격으로 불렸다. 하지만 실상 이것이 질레트 방식의 모든 것은 아니었다.

새 제품을 내놓을수록 경쟁업체가 따라잡거나 다른 시장에 모방제품을 내놓은 걸 방지하는 방법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질레트가 센서를 출시한 후 제품 라인업을 완성하고 여러 시장에 내놓는데 4년이 걸렸다면 후속작인 엑셀 때는 이걸 더 줄이는데 목표를 두었다.

그럼 질레트가 얻은 건 이것뿐이었을까. 이 기간 동안 질레트가 거둔 한 제품에서의 성공은 다른 제품을 위한 교두보가 됐다. 면도기는 면도용 크림으로, 다시 애프트쉐이브로 그리고 데오도란트가 되었다.

이렇게 질레트는 1990년에 센서, 그로부터 거의 매 5년을 사이에 두고 엑셀, 마하3 그리고 퓨전을 출시한다. 이 사이 하나짜리로 시작한 면도날은 두 개, 세 개, 그리고 다섯 개로 늘어났고, 언제나 더 나는 다른 기능도 추가해 갔다.

물론 질레트의 이 긴 여정도 시장과 기술의 변화가 만든 와해적인 비즈니스모델과 시장 변화에 또 다른 변신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질레트는 이 방식으로 전체 매출 중 신제품으로부터 40 퍼센트라는 목표를 달성했고, 이것은 소비재 기업으로선 놀라운 업적이었다.

당대 질레트 CEO였던 알 지엔(Al Zeien)은 이것에 대해 단지 경쟁자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하는 그 비즈니스를 조율하고 지휘하는 것이라고 묘사했다고 한다.

그동안 이 전략은 이런저런 명칭으로 불려왔다. 하지만 정작 많은 기업을 성공으로 이끈 전략이 되지는 못한 건 질레트의 놀라운 결과를 생각하면 역설처럼 보인다.

어쩌면 조지 발란신이 발레와 재즈 댄스로 이 '온 유어 토스'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뮤지컬 중 하나를 안무해낸 것처럼 질레트도 위대한 혁신 방식을 안무해 낸 것 아닌가 싶다.

그러니 만일 누군가 안무를 코레오그래피라 부른다면 오늘 우린 혁신을 카이노토모그라피아(kainotomographia), 즉 '새 것을 쓰는 일'이라 부름직도 하겠다.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email protected]